일상누림교회

합신교단사람들)) 박영선 목사 본문

일상낙서/책, 글, 사이트 소개

합신교단사람들)) 박영선 목사

ChoShua 2023. 4. 28. 15:04

시사 > 전체기사

“하나님의 꽃이 되십시오” 박영선 목사

신간 ‘이사야서, 하나님의 비전’…“부르심에 응답해 영적 성장 이뤄가야”

입력 : 2022-12-15 10:40/수정 : 2022-12-15 10:59
  •  
박영선 남포교회 원로목사가 최근 서울 송파구 교회 목양실에서 이사야서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웃고 있다. 신석현 포토그래퍼

젊은 시절 ‘믿음’이란 주제에 천착했던 한국교회 명설교자 박영선(74) 남포교회 원로목사가 이제 ‘사랑’이란 주제에 응답하고 있다. 박 목사는 최근 서울 송파구 교회 목양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하나님은 인간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해 실패하는 우리에게 계속 기회를 주신다”면서 “그분은 우리가 자유 의지로 이 사랑을 선택하길 바라신다”고 했다.
믿음과 사랑은 기독교의 대표적 주제다. 그는 초기 저서 ‘하나님의 열심’에서 믿음을 ‘하나님의 열심이 빚어낸 결과’라고 결론을 내렸다.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했다. 최근 낸 이사야서 강해서 ‘이사야서, 하나님의 비전’(복있는사람)에서는 사랑이 ‘하나님의 의리가 빚어낸 결과’라고 설명한다. 우리에겐 이 의리에 상응하는 자유와 책임이 있다. 아래는 일문일답.


-이사야서는 구속사 관점에서 많이 읽힙니다. 목사님은 이스라엘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셨습니다.
“이사야서에는 하나님과 씨름하는 이스라엘이 나옵니다. 이민족에 둘러싸인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안심’을 주지 않자 왕을 세우고 우상을 섭깁니다. 북왕국은 망하고 남유도도 망하기 직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시간을 주시고 우리가 선택한 결과를 보게 하십니다. 더 큰 하나님의 일하심을 보게 하십니다.
이스라엘의 멸망으로 포로가 되고 흩어졌지만 복음이 이방 세계로 전파됩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저버렸지만 하나님은 절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예수님을 보내셨습니다. 하나님이 목적한 인간의 표본이지요. 그 분은 하나님에게 순종했고 하나님의 뜻을 이뤘습니다. 우리는 그 분을 통해 하나님에게 갈 길을 얻었습니다.”
-하나님에 대한 우리 믿음은 어떤 선택으로 드러날 수 있을까요?
“이 믿음은 도덕이나 윤리가 아니라 독립된 존재 간의 교제로 드러납니다. 예수님이 ‘내가 그들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어 그들로 온전함을 이루어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은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과 또 나를 사랑하심 같이 그들도 사랑하신 것을 세상으로 알게 하려 한다’(요 17:23)고 했습니다.
이 사랑은 관계론적으로 대등합니다. 대등하지 않으면 동정이나 강요가 됩니다. 비참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죽음을 불사하고 우리를 사랑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대등한 상대로 보시고 ‘너는 내 상대다, 나의 꽃’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삶 속에서 하나님을 선택하길 기다리십니다.”

-우리는 선택에 실패할 때가 많습니다.
“은혜는 하나님의 의지입니다. 하나님은 창조의 목적을 포기하거나 이 목적에 타협하지 않으십니다. 우린 하나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존재입니다. 구원은 죄사함 정도가 아니라 하나님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피조물의 목표를 이루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런 하나님을 믿고 자신을 만들어 가야 합니다.
흔히 ‘탕자의 비유(눅 15:11~32)’를 하나님께 돌아온 것으로만 이해하는데 과정으로 봐야 합니다. 탕자가 아버지에게 돌아왔으면 새 삶을 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이 성화(聖化)입니다. 부모는 자녀를 가르치기 위해 학교에 보냅니다. 자녀는 공부가 힘들어도 더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배웁니다. 하나님이 세상에 우리를 보낸 것도 같은 마음입니다.
기독교인들이 하나님을 믿으면 복을 주고 형통하게 하고 고난을 겪지 않게 할 거라고 기대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고난 속에서 우리가 자라길 바랍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롬 3:22)’입니다. 하나님의 의를 공정이라는 법적 제한에 가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 의는 관계입니다. 의리(義理)입니다.
인간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창조주로서 책임을 다 하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기까지 우리와 계속 교제하고 우리가 성장하길 기대하십니다.”


-이스라엘 민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지요.
“그렇죠.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에 너는 고아가 아니고 내가 네 부모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자식답게 굴라고 하고 사랑하는 관계가 되자고 합니다. 사망 권세에서 생명으로 옮겨갈 것은 권하지만 이스라엘은 반항합니다. 우상을 섬깁니다. 부모 입장에서 보면 자식이 철이 들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 삶을 돌아봐야 합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우리가 과연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지 하나님이 목적한 바로 실천하고 있는지 살펴야 합니다. 축구 선수가 전 경기에서 자책골을 넣었으면 다음 경기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열심히 뛰어서 그 골을 만회해야 합니다. 바닥에 엎드려 회개 기도를 하면 안 됩니다.
지금 한국교회 시급한 부분도 이것입니다. 우리는 순교의 시대, 부흥의 시대를 지나 과도기에 서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영적으로 성숙할 것인가, 퇴보할 것인가 기로에 있습니다. 우리는 영적으로 성숙해야 합니다.
우리는 아이를 낳아 조금 키우는 정도의 재미에 만족했습니다. 삶에서 어쩔 줄 모르는 사람 투성이입니다. 이들이 성장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삶이 어려워도 매일 새로운 길을 가야 합니다. 살아 있는 한 길을 가야 합니다. 끝처럼 보여도 그것이 시작인 것처럼 길을 가야 합니다.”

-성숙의 지표가 궁금하네요.
“사랑을 증명하려면 오래 참아야 합니다. 불편한 걸 견뎌야 합니다. 나와 같지 않은 많은 것들을 견뎌야 합니다. 설교를 안 해야 합니다(웃음).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려 들면 안 됩니다. 하나님이 예수님을 보낸 것처럼 예수님이 우리를 이 땅에 보냈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처럼 보여야 합니다.”
-참 어려운 길입니다.
“우리는 밭입니다. 밭에 복음의 씨가 뿌려졌습니다(눅 8:1~15). 우리는 돌밭일 수도, 가시떨기 밭일 수도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 밭에 꽃을 피우길 원하십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에 하나님이 찾아오심으로 우리라는 존재가 하나님을 기뻐하게 뢸 것입니다. 씨가 꽃을 피우는 것을 우리 삶의 내용으로 삼으실 겁니다.
우리가 주로 실패하기 때문에 이 실패를 아무것도 아닌 줄 아는데 아닙니다. 그 실패가 일을 합니다. 예수님은 부활하셨음에도 손에 못 자국을 가집니다. 그 모든 과정이 헛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 모든 것으로 만들어져 갑니다. 시인 김춘수의 유명한 시 ‘꽃’에 나오듯 여러분이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해 그 꽃이 되십시오.


-꽃이 되라고 하시니…(웃음). 남포교회 성도님들은 목사님 설교에 큰 도전 받겠습니다.
“제가 옛날에 강사로 별로 큰 환영을 못 받았습니다. 고 옥한흠 고 하용조 홍정길 이동원 목사님들과 종종 설교 강단에 같이 서곤 했는데 이분들이 간혹 뒤에 나오는 저를 소개할 때 농담 삼아 ‘곧 박영선 목사가 강의할 텐데 이 사람은 여러분의 감동을 방해하는 자’라거나 ‘독을 푸는 사람이니 조심하라’고 했지요(웃음).
힌번은 이 분 중 한 분이 저더러 역시 재미 있으라고 ‘이제는 철들 때도 됐는데 벼가 철 모르고 시푸러뎅뎅하다’고 해서 제가 강단에 올라가서 이렇게 반박한 적이 있습니다. ‘10월에야 벼가 누렇게 익지 오뉴월에 벼가 누렇다면 병든 것입니다. 지금 한국교회는 추수를 이야기할 때는 아니지 않냐’고.
-1985년 남포교회를 개척해 후임을 세운 뒤에도 격주로 계속 설교를 하고 계십니다.
“원로가 되면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어른 역할을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회 안에서 서로 다른 의견이 나올 때 이쪽 이야기도 듣고 저쪽 이야기도 들으면서 ‘네 말이 맞다’ ‘네 말도 맞다’는 말을 하는 게 제 일입니다. 담임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을때까지 시간을 끌어주는 겁니다.
제가 후임 목사한테 이야기한 비유가 있습니다. 바둑 기사로 스승인 조훈현과 이창호의 관계입니다. 두 사람은 기풍이 정반대입니다. 조훈현은 늘 가장 좋은 자리에 두고 이창호는 늘 그 다음 좋은 자리에 둡니다. 처음엔 이창호가 졌지만 결국엔 이창호가 스승을 이깁니다. 후임목사가 또박또박 설교를 합니다. 언젠가 그가 나를 이길 겁니다.”

박 목사에게 인터뷰 말미 마지막으로 남기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물었다. 그는 “내가 아직 유언할 나이는 아닙니다”고 했고 취재진은 한바탕 크게 웃었다. 그는 인터뷰 내내 진지한 답변 중에서도 유머를 뽐냈다. “유머가 정말 대단하다”고 하자 “달라스 윌라드가 그랬죠. 웃음이 없으면 복음이 아니다”라고.
박 목사는 ‘믿음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매달리던 30대 중반 불면증을 갖게 됐다고 했다. 그의 성경 강해 초점이 하나님의 주권에서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거쳐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존재론적 사랑으로 옮겨가고 있다. 평생 삶이 주는 신앙적 회의와 신학적 질문과 싸워온 한 목회자의 뚜렷한 상승 궤적으로 보인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7772409&code=61221111&cp=nv